AWS CloudShell 은 AWS Management Console에서 직접 AWS 리소스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브라우저 기반 셸 환경으로, 사용자는 추가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거나 구성할 필요 없이 명령, 스크립트 및 유틸리티를 실행하여 AWS 환경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.
CloudShell 서비스가 뜨지 않는다고요? 그럼 우선 AWS CloudShell 이 사용 불가능한 지역이 있으므로 우선 자신의 리전에서 사용 가능한지 체크를 해줍니다.
서울 리전은 사용 가능하네요!! ㅎㅎ. 만일 CloudShell이 사용 불가능하다면 우상단의 리전을 다시 한번 체크해주세요.
![](http://3.35.198.107/wp-content/uploads/2024/04/Pasted-image-20240410215903.png)
AWS CloudShell 사용 가능한 리전 확인하러 가기
AWS CloudShell 사용해보기
AWS CloudShell을 실행해줍니다
![](http://3.35.198.107/wp-content/uploads/2024/04/Pasted-image-20240410220127.png)
cloudshell이 실행되면 aws --version
을 입력하여 버전을 확인해봅니다.
![](http://3.35.198.107/wp-content/uploads/2024/04/Pasted-image-20240410220324-1024x237.png)
ls
명령어를 입력해봅니다. 원래는 아무런 파일들이 존재하지 않습니다. 저는 lightsail 서비스를 이용하는 게 있어서 lightsail_connect 디렉토리가 존재하네요.
df -h
명령어로 용량을 확인해봅니다.
이런 약 30G 제공해주는 거에서 11G나 사용했네요…. 뭘 했다고 11기가나 썼지….우분투 용량인가…
CloudShell 설정 변경
설정 버튼을 누르면 CloudShell 설정을 손쉽게 변경해줄 수 있습니다.
![](http://3.35.198.107/wp-content/uploads/2024/04/Pasted-image-20240410221015-1024x891.png)
CloudShell과 로컬 사이 파일 주고받기
작업 -> 파일 다운로드 혹은 파일 업로드로 AWS 터미널과 로컬 간의 파일 교환을 자유롭게 해줄 수도 있습니다.
![](http://3.35.198.107/wp-content/uploads/2024/04/Pasted-image-20240410221306-1024x376.png)
여러 터미널로 작업하기
작업 -> 새탭 or 행으로 분할 or 열로 분할 을 통해서 여러 터미널로 작업할 수 있습니다.
![](http://3.35.198.107/wp-content/uploads/2024/04/Pasted-image-20240410221430-1024x465.png)
새 터미널 탭이 열린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.
![](http://3.35.198.107/wp-content/uploads/2024/04/Pasted-image-20240410221611-1024x689.png)
마치며
왠지 AWS CLI로 접근하는 게 VS code로도 바로 접근 가능하고 AWS CloudShell로 접근하는 것 보다 편할 거 같습니다. 그래도 뭐가 더 편하고 유용한지는 사용해보면서 판단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.
참고하면 좋은 글
![](https://hangbok-archive.com/wp-content/uploads/2024/04/aws-150x150.jpg)